신분제 사회인 조선에서 김홍도는 중인출신으로 어디서 태어났는지를 알 수 없을 정도로 그의 삶은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습니다.

사실 풍속화가로 알려져 있으나 그렇게 규정하는 것은 그의 일부분 밖에 모르는 것이고, 산수화, 풍경화, 신선도 역시 독보적인 위치에 있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홍도의 소림명월도



영조 말 쯤 화원으로 등용되어 도화서에서 출중한 실력으로 두각을 나타냈으며, 정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정치적 경제적 번영속에서 그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그의 행보를 보면 1771년 왕세손 이산의 초상화를 그렸으며, 1776년 영조에 이어 정조가 보위에 오르자 정조에게 규장각도를 바쳤고, 1781년(정조 5년)에 정조의 초상화를 그렸습니다. 그리고 1779년 김홍도에게 일본지도를 그릴 것을 명하여 일본으로 가서 일본지도를 모사하여 그려왔습니다. 일본에 갔을 때와 일본의 천재화가 샤라쿠의 의 활동 시기가 비슷하다하여 동일 인물이라고 하는 주장도 있으나 아직 확실한 증거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김홍도는 뛰어난 불화 작품도 있으며 정조의 명에 의해 사도세자를 기리는 용주사의 삼세여래후불탱화를 그렸다고 합니다. 이 불화는 서양의 화풍을 적용하여 그렸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화풍을 뛰어넘은 걸작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나중에 중인으로써 파격적으로 현감을 지냈으나 관리로써 업적이 뛰어나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김홍도는 언제 세상을 떠났는지 알 수 없으며 기록도 남아있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김홍도는 춘화로도 많은 작품을 남겨놓고 있는데, 아래 링크에 춘화의 작품이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odde8s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3

Posted by UREC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