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제 사회인 조선에서 김홍도는 중인출신으로 어디서 태어났는지를 알 수 없을 정도로 그의 삶은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습니다.

사실 풍속화가로 알려져 있으나 그렇게 규정하는 것은 그의 일부분 밖에 모르는 것이고, 산수화, 풍경화, 신선도 역시 독보적인 위치에 있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김홍도의 소림명월도



영조 말 쯤 화원으로 등용되어 도화서에서 출중한 실력으로 두각을 나타냈으며, 정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정치적 경제적 번영속에서 그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그의 행보를 보면 1771년 왕세손 이산의 초상화를 그렸으며, 1776년 영조에 이어 정조가 보위에 오르자 정조에게 규장각도를 바쳤고, 1781년(정조 5년)에 정조의 초상화를 그렸습니다. 그리고 1779년 김홍도에게 일본지도를 그릴 것을 명하여 일본으로 가서 일본지도를 모사하여 그려왔습니다. 일본에 갔을 때와 일본의 천재화가 샤라쿠의 의 활동 시기가 비슷하다하여 동일 인물이라고 하는 주장도 있으나 아직 확실한 증거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김홍도는 뛰어난 불화 작품도 있으며 정조의 명에 의해 사도세자를 기리는 용주사의 삼세여래후불탱화를 그렸다고 합니다. 이 불화는 서양의 화풍을 적용하여 그렸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화풍을 뛰어넘은 걸작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나중에 중인으로써 파격적으로 현감을 지냈으나 관리로써 업적이 뛰어나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김홍도는 언제 세상을 떠났는지 알 수 없으며 기록도 남아있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김홍도는 춘화로도 많은 작품을 남겨놓고 있는데, 아래 링크에 춘화의 작품이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odde8s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3

Posted by URECA
,
이산에서 새로 등장한 장태우는 정조시절 노론벽파의 수장이었던 김종수의 가상인물로 보인다.

그러면 김종수는 역사적으로 어떤 행보를 보였는가?

정조 2년 유배에서 풀려나 복권되어 노론 벽파의 수장으로 홍국영과 대립하여 승리를 거둔 인물이다.
정조 초 당시 이조판서로서 홍국영(洪國榮)의 죄를 논하여 그를 축출시켰다.
이때 외척의 정치관여를 배제해야 한다는 논리를 펼쳐 정조를 설득시킨 것이다.

드라마에서는 정조와 대립할 것 같이 등장하는데, 사실 역사적으로는 정조가 크게 신임한 인물이었다.
좌의정을 거치며 사도세자 문제로 채제공과 맞서 한때 귀양을 가기도 했으나 곧 풀려났고 관직에 물러나서도 정조는 극진히 대우했다.

앞으로의 구도는 노론벽파의 가상인물 (최석주 - 심환지, 장태우 - 김종수 대 남인 세력 (채제공 정약용)의 대결양상을 띌 것 같다.

Posted by URECA
,
이산에서 보면 정조가 노론세력을 견제하고자 과거시험에 대한 공고를 낸다. 거기서 2000명을 뽑는다고 했는데, 과연 그랬을까?

다음은 방목(조선 과거 합격자 명단을 수록한 책)을 보면 정조시기에 대과(최종 시험)의 합격자 수 이다.
정조원년 정시에서 11명을 뽑았다. 조선의 과거시험에서 통상적으로 33며을 뽑는 것이 원칙이 었는데 정식에 11며을 뽑았다는 것을 보면 드라마의 내용은 과장인 것 같다.

정조 0년-정시(11명)
정조 1년-식년시(33명)
정조 1년 - 증광시(35명)
정조 1년-정시(9명)
정조 2년 - 정시(8명)
정조 2년-춘당대시(3명)
정조 3년 - 정시(3명)
정조 4년-식년시(44명)
정조 6년 - 함경도별시(7명)
정조 6년-평안도문과시(9명)
정조 6년 - 별시(15명)
정조 6년-비천당문과시(4명)
정조 7년 - 증광시(38명)
정조 7년-식년시(33명)
정조 7년 - 친시(5명)
정조 8년-정시(26명)
정조 9년 - 춘당대시(5명)
정조 9년-정시(10명)
정조 10년 - 별시(7명)
정조 10년-식년시(32명)
정조 10년 - 중시(8명)
정조 11년-정시(15명)
정조 13년 - 식년시(60명)
정조 13년-별시(5명)
정조 13년 - 춘당대시(6명)
정조 14년-증광시(46명)
정조 14년 - 별시(5명)
정조 14년-춘당대시(4명)
정조 16년 - 식년시(59명)
정조 18년-춘당대시(6명)
정조 18년 - 정시(50명)
정조 19년-춘당대시(24명)
정조 19년 - 식년시(49명)
정조 19년-별시(5명)
정조 20년 - 중시(10명)
정조 20년-별시(5명)
정조 22년 - 식년시(53명)
정조 23년-알성시(6명)
정조 24년 - 별시(41명)
 

Posted by URECA
,
이산에 대표적인 등장인물들의 과거시험 성적이다. 정약용은 나중에 대표적인 인물이 될 것 같아 목록에 포함시켰다. 장원급제 한 인물들은 없고, 대부분 중간 정도 성적이다. 나중에 나올 정약용의 성적이 특출나다.

채제공 - 영조 15년 정시에 병과 5등 => 응시자 26명 중 8등
홍인한 - 영조 29년 정시에 병과 2등 => 응시자 27명중 공동 10등
김귀주 - 영조 39년 증광시에 병과 33등 => 응시자 53명중 43등
정후겸 - 영조 42년 별시에 을과 1등 => 응시자 13명중 2등
홍국영 - 영조 48년 정시에 병과 11등 => 응시자 15명중 15등

장태우 - 가상인물
최석주 - 가상인물
정약용 - 정조 13년 식년시에 갑과 2등 => 최종합격 60명중 2등

조선의 최종시험인 대과는 8번의 시험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뽑아놓고 왕 앞에서 논술 실력을 겨루는 형태로, 지금의 대입 논술고사와 유사한 형태였다.

성적을 보면 정후겸이 역시 등수가 높았으며, 김귀주와 홍국영은 하위권이었다. 그러나 응시자는 모두 과거에 합격한 것으로 응시 자격에 든것 만으로 엄청난 실력을 갖춘 것으로 볼 수 있다.

Posted by UREC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