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동해안 울릉분지 해역 3개 지점에서 매장량이 6억톤을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초대형 가스하이드레이트 구조를 발견하는데 성공했다라는 뉴스가 2007년 11월 22일 보도되었다.
그리고 2007년 7월에는  그동안 고채상태로만 채굴하던 하이드레이트를 매장지에서 기채로 전환
직접회수하는 기술을 KAIST 이흔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개발되었다는 보도도 있다.

그러나 2억년 전 지구대멸종 주범이 바닷속 메탄가스라는 주장도 있다.
고생대 페름기(2억6600만~2억4500만년 전) 말기에 해저동물의 95%, 지상생물의 70% 이상이 대량 멸종했다.
대량 멸종을 가스 하이드레이트 때문이라고 보는 이들은 운석의 충돌, 지각변동, 박테리아 등 미생물의 분해 등이 단초를 제공해 바닷속 메탄이 갑자기 폭발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해저 깊은 곳에 가라 앉아 있던 메탄의 일부가 해수면으로 이동하면, 그 이동으로 메탄을 누르고 있던 압력이 작아지고, 거기에 있던 메탄이 연속적으로 해수면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일단 메탄이 공기 중으로 분출되기 시작하면 그 순환의 고리는 걷잡을 수 없는 형태가 된다는 설명이다. 과학자들은 현재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저온, 수압에 의해 안정한 상태로 바닷속에 가라 앉아있지만 운석 충돌이나 해저 지진 등 지각변동이 일어나면 언제 지구를 위협하는 흉기로 변할지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만일 이 하이드레이트층을 개발한다면 바다 밑바닥을 다지고, 대륙붕을 지탱하는 기능이 붕괴되어 대륙붕이 붕괴하거나, 바다 속 지각을 불안정하게 해 대규모 해일을 일으킬 수도 있으며 여기에다 심해에 갇혀 있던 메탄이 방출될 경우 앞서 말한 지구대멸종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 가스하이드레이트(NGH)는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로 부각되는 천연에너지이다.
바다 속의 퇴적층에서 메탄가스, 천연가스 등과 물이 높은 기압과 낮은 온도로 존재해 있으며 불타는 얼음이라고도 불림.  전 세계적으로 매장량이 많아 대체 에너지원으로 실용화될 경우 엄청난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Posted by URECA
,